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곳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젊은 인구, 특히 20~39세 여성 인구가 급감하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지역을 말합니다.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민생회복쿠폰 지급계획

인구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시·군·구가 지정 대상이며, 이 지수는 젊은 여성 인구를 고령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해당 지역은 장기적으로 지역 소멸 위험이 크다고 평가되며, 국가 차원의 보호와 활성화가 시급한 곳으로 분류됩니다.

2025년 기준 인구감소지역 84곳 명단

2025년 현재 농어촌 지역으로 지정된 인구감소지역은 총 84개 시·군입니다. 아래는 광역단체별 지정 현황입니다.

  • 인천: 강화군, 옹진군
  • 경기: 가평군, 연천군
  • 강원: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충북: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 충남: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전북: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 전남: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경북: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대구: 군위군

※ 부산, 대구 등 광역시 내 구 단위 지역은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인구감소지역의 주요 특징

인구감소지역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고령화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월등히 높음
  • 젊은 인구의 수도권 유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 지역 내 산업은 주로 농업, 어업 중심으로 구조적 한계 존재
  • 교육, 의료, 문화 인프라 부족으로 정주 여건이 열악함

이러한 조건은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며, 궁극적으로는 지방 소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적 대응과 지원

정부는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 중입니다. 핵심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방소멸대응기금 배정
  • 공공임대주택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SOC 투자
  • 청년 창업 유도 및 지역 일자리 창출 사업 추진
  • 보육, 교육, 의료 등 사회서비스 확충
  •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지원금 및 프로그램 운영

이외에도 특정 지역에는 이주 정착금을 비롯한 인센티브도 부여되고 있으며, 지역 맞춤형 활성화 전략이 수립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참고사항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지정은 5년 주기로 재평가되며, 실제 인구 변화와 정책 성과에 따라 명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현행 지정은 시·군 단위에 국한되어 있지만, 앞으로는 읍·면 단위로도 세부 정책 논의가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인구감소지역 지정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낙후된 지역이라는 인식은 지양해야 하며, 오히려 국가의 집중 투자가 이루어지는 성장 잠재 지역으로 바라보는 관점 전환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인구감소지역은 어떻게 지정되나요?
A) 인구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시·군·구를 중심으로 지정되며, 5년마다 재조정됩니다.

Q) 인구감소지역에 살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A) 재정지원, 공공시설 투자, 육아·보육 지원, 주거지원 등 다양한 행정·재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읍·면 단위의 인구감소는 정책 대상이 아닌가요?
A) 현재는 시·군 단위로만 지정되지만, 읍·면 단위의 문제도 정책적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Q) 청년층이 이주하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지역은 청년 이주자에게 정착지원금, 주택 임대비, 창업자금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어디에서 상세 명단을 확인할 수 있나요?
A)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지방소멸 대응 종합지원포털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